802.11 Powersave Mode

 


802.11의 절전모드란, station이 절전모드 상태에 빠지게 되면, 아무것도 없는 패킷을 station이 AP에게 보내는데 이 데이터 안에는 PM이라고하는 Power Management를 enable(1이 스위치를 켜는거니까)한다.



 

그렇게 패킷이 보내지면 AP는 DTIM과 station의 AID를 참고하여 beacon을 계속 날리는데(이런 이유로 Beacon에는 DTIM과 AID가 들어있다.) 여기서 DTIM이 뭔지 잠깐 살펴보자.



 

DTIM이란 것은, 몇 번 Beacon을 반복적으로 날릴 것인지.. 그 횟 수이다.

예를 들어서 DTIM이 5라면 Null data를 통해 PM을 켜고 비콘 날리고 날리고 날리고 날리는.. 이런 짓을 5번 한단 말이 된다.

 


여하튼 비콘 1회당 이렇게 AID를 받은 station은 Ps Poll이라고 하는 패킷을 AP에게 보내는데, Ps Poll이란 것은, 절전 상태에서 AP에게 데이터를 요청하는 패킷이다. 패킷을 받은 AP는 해당 station에게 데이터를 준다.

 





 이 같은 802.11의 절전모드에 좋은 예로, 도서관에서 인터넷을 하다가 잠시 노트북을 인터넷이 켜진 상태에서 절전모드를 해놓고 점심먹으러 갔다가 와서 인터넷을 했을 때 곧바로 인터넷이 되는 경우가 있다.




출처 - 옛날 블로그 2011/02/09 02:22


Posted by extr
:

802.11 Hidden node

 




802.11의 히든노드 란 것은 이런 것이다.


하나의 AP내에 있는 Station들은 서로가 충돌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

캐리어 센싱(데이터가 흐르고 있는지 확인)을 하게 되는데,

 


CSMA/CA라는 캐리어 센싱을 수행하는 것 자체는 station이므로 자신의 범위에 없으면 자신 외에는 station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

 


위 그림의 상황이 되면 station들은 서로가 AP에게 패킷을 전송하려 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RTS/CTS를 사용한다.

 


앞서 정의를 내렸지만 RTS란, NAV값과 함께 AP에게 보낼 데이터가 있다고 요청을 하는 것이고, CTS란 그 요청에 대한 응답이다.

 


이 설정을 해놓으면 station끼리 서로를 감지하지 못해도 CTS를 받은 station만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기 때문에 서로 충돌이 일어나지 않는다.




출처 - 옛날 블로그 2011/02/09 02:19



Posted by extr
:

802.11의 결합 과정

 

802.11의 결합과정에는 두 가지가 존재한다.

우선 수동적인 passive모드와 능동적인 active모드.

우선 passive부터 알아보도록 하자.






 

패시브모드는 우선 AP가 station에게 beacon을 날립니다.

 

비콘이 뭐냐하면, 예를들어 AP이름이 IPtime이라고 하면 자신이 IPtime이라고 암호설정 유무에 관계없이 광고를 하는겁니다 계속..

이렇게해서 연결되도록 광고를 하는 것을 비콘이라고 합니다.

 


그렇게 비콘을 보내면 station이 AP에게 열려있나?하고 authentication request(인증 요청)을 보냅니다. 만약 열려있다면 열려있다고 응답이 오겠죠. 이를 authentication response (인증 응답)라고 합니다.

 


인증절차가 끝이 나게 되면 station은 AP에게 association request(결합 요청)을 합니다. 그리고 AP로부터 association response(결합 응답)을 받아, 결합이 되고나면 성공적으로 연결이 된 것입니다.

 


결합과정까지 끝이나면 AP는 station에게 Association ID(AID)를 부여하게 되는데, 이는 순차적으로 분배되어 집니다.(ex 1,2,3…)




패시브 모드는 여기까지 알아봤으니 이젠 액티브 모드를 알아봅시다.






 

엑티브모드란, 패시브 모드를 통해서 한번 결합하고 나면 station내에 profile이 생성되는데(이 profile에는 AP의 이름과 암호가 저장된다) 이를 통해서 다음에 한번 더 참조하여 연결 할 필요없이 감지가 되면 자동적으로 연결을 하는 모드를 말한다.

 


우선 엑티브 모드는 probe request와 probe response를 통해서 한 번 이전에 접속했던 AP를 찾아, 그 반응을 조사한다.

 


이 말은, 엑티브 모드는 이전에 접속한 AP를 station이 profile을 통해 기억하고 있기 때문에 그 신호가 감지가 되면 자동적으로 그 AP를 받아온다는 뜻이다.

 


이 과정이 끝나면 인증을 하게되고 인증절차가 끝이나면 비로소 결합을 하게된다.(이 과정은 패시브와 똑같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결합이 끝이나면 AID를 부여해주어 순서를 지정해주고 통신을 하게된다.





출처 - 옛날 블로그 2011/02/09 02:16

 


Posted by extr
: